안드로이드

Kotlin-DSL을 활용하여 Dependency 관리하기 - (1)

익세망 2021. 5. 16. 18:19

Groovy를 활용해서 Dependency를 관리하는 방법은 흔히 알려져있고 자료도 많이 존재합니다.

 

Kotlin-DSL-Gradle을 설정하는 방법을 작성하고

이를 활용해서 Dependency를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.

 

일반적인 Groovy를 활용해서 Dependency를 관리하는 프로젝트 예시는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Kotlin-DSL을 활용하여 Dependency 관리하기 - (2)


 

Kotlin-DSL 이란?


Kotlin 기반의 Domain Specific Languages 으로 특정 목적에 맞게 작성되는 언어 방식을 말한다.

data class Coffee(
    var been: String = "Arabica",
    var isWater: Boolean = false
)

fun makeCoffee(recipe: Coffee.() -> Unit): Coffee {
    val p = Coffee()
    recipe(p)
    return p
}

fun main() {
    val person = makeCoffee {
        been = "Robusta"
        isWater = true
    }

    println(person)
}

main 함수의 makeCoffee처럼 Coffee 객체 생성이라는 목적을 위해서 작성되는 이러한 영역의 문법 방식을

Kotlin-DSL 이라고 부르는데, makeCoffee 내부에 코드를 선언하듯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
 

이러한 문법적 특성을 이용해서 Gradle을 Kotlin으로 작성해보자

 

 

kts 파일로 변환 해보기


설정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.

 

우선 파일명을 변경해준다.

build.gradle (:app) -> build.gradle.kts (:app)

 

파일명을 변경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IDE가 Kotlin Gradle로 인식한다.

이런식으로 전체적으로 에러가 생기게 되는데 침착하게 하나하나 바꿔나가면 된다.

바꿀 때 IDE의 도움을 받아서 ' ' 사이를 드래그 한 뒤 (" 순으로 입력해서 글자를 치환하면 좀 더 쉽다.

 

먼저 아래 내용을 주석처리하고 plugins 내부를 수정해준 다음 'sync now' 한다.

그러면 이제 android 관련된 gradle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.

변경하는 요령은 간단하다 compileSdkVersion과 같은 속성 이름을 작성한 후

자동완성을 통해서 알려주는 프로퍼티나 함수를 사용해서 그대로 옮겨주면 된다.

 

// build.gradle.kts (:app)

plugins {
    id("com.android.application")
    id("kotlin-android")
}

android {
    compileSdkVersion(29)
    buildToolsVersion("29.0.3")

    defaultConfig {
        applicationId = "com.munny.kotlindslsample"
        minSdkVersion(23)
        targetSdkVersion(29)
        versionCode(1)
        versionName("1.0")

        testInstrumentationRunner = "androidx.test.runner.AndroidJUnitRunner"
    }

    buildTypes {
        getByName("release") {
            minifyEnabled(false)
            proguardFiles(
                getDefaultProguardFile("proguard-android-optimize.txt"),
                "proguard-rules.pro"
            )
        }
    }
    compileOptions {
        sourceCompatibility = JavaVersion.VERSION_1_8
        targetCompatibility = JavaVersion.VERSION_1_8
    }
    kotlinOptions {
        jvmTarget = JavaVersion.VERSION_1_8.toString()
    }
}

dependencies {

    implementation("org.jetbrains.kotlin:kotlin-stdlib:1.3.72")
    implementation("androidx.core:core-ktx:1.3.2")
    implementation("androidx.appcompat:appcompat:1.2.0")
    implementation("com.google.android.material:material:1.3.0")
    implementation("androidx.constraintlayout:constraintlayout:2.0.4")
    testImplementation("junit:junit:4.+")
    androidTestImplementation("androidx.test.ext:junit:1.1.2")
    androidTestImplementation("androidx.test.espresso:espresso-core:3.3.0")
}

작성된 gradle 파일은 위와 같다.

 

id("kotlin-android") 와 같은 kotlin이 앞에 붙어있는 plugin id는 kotlin("android") 와 같이 작성할 수 있으며

id("kotlin-kapt")도 마찬가지로 kotlin("kapt") 처럼 작성 할 수 있다.

 

project 레벨의 gradle도 동일한 방식으로 변경 해주면 된다.

 


 

여기까지가 Kotlin-DSL을 이용해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설정을 하는 기본 코드였고

다음 포스팅에 이를 활용해서 Dependency 코드를 관리하는 방법을 작성하려 한다.

 

만약 파일을 수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기존의 gradle 파일을 그대로 둔 채로

gradle.kts 파일을 새로 만들어도 상관 없다.

반응형